스프링은 MessageConverter를 가지고 있다. 기본값은 현재 json이다
중간데이터 - 중간언어(둘다 이해하는 언어) JSON ! 모든 언어들이 이해 쉬운 언어로 변환해서 전달
자바 오브젝트 -> json -> 파이썬 object
MessageConverter : 직접 번역을 대신 해준다. 요청, 응답 둘다 바꿔준다
MessageConverter=jackson 설정
데이터 던지기 쉽다
스프링은 BufferedReader와 BufferedWriter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.
통신-전기선(전류)=bit단위 010101110100 -8bit씩 끊어 읽어-한문자씩 받을 수 있을거야-1byte:통신의 최소 단위
1byte = 하나의 문자(영어권)
전 세계 문자마다 byte 인코딩 다 다르다 -> 유니코드:utf-8 3byte통신
->byte stream -> InputStreamReader 문자하나! 배열! 여러개의 문자(배열의 크기를 정해야해) - 안씀
==== BufferedReader : 가변길이의 문자를 받을 수 있다
데이터 요청 : Buffered Reader(=requestgetReader())
데이터 응답 : Bufferedwriter(=printwriter()) =out
가변길이의 문자열을 주고 받을 때 쓰는 클래스
BufferedReader / BuferedWriter
@ResponseBody => BuferedWriter
@RequestBody=>BufferedReader
'Code, Study > 스프링부트 개념정리(이론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6.스프링부트 개념정리_영속성 컨텍스트 (0) | 2022.05.16 |
---|---|
05.스프링부트 개념정리_ORM (0) | 2022.05.16 |
04.스프링부트 개념정리_JPA (0) | 2022.05.16 |
02.스프링부트 개념정리_필터 (0) | 2022.05.16 |
01.스프링부트 개념정리_스프링의 핵심 (0) | 2022.05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