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 키워드
-전기 신호
-랜 케이블
-리피터
-허브
물리계층 : OSI 모델의 최하위 계층으로,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하고 전기 신호의 변환 및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. 또한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일을 한다.
전기 신호 : 전기 신호는 전압이 일정 패턴으로 변하여 생기는 일련의 흐름으로 전압의 변화가 모여서 만들어진 신호다. 이런 전기 신호들을 주고받음으로써 네트워크에서 사진이나 문서 등을 주고받을 수 있다.
디지털 신호 : 아날로그 신호와 대비되는 신호 형태로 아날로그 신호를 전류의 유무나 극성, 위상의 동일이나 반대 등 물리적 현상을 이용하여 컴퓨터가 인식하는 0 또는 1의 2진수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신호를 말한다.
랜 카드(LAN card) : 컴퓨터의 네트워크 연결 및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, 네트워크 카드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(NIC)라고 불린다.
케이블 : 전선을 뜻한다. 전달하는 신호나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여러 종류의 케이블이 있는데,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랜 케이블 또는 랜선이라고 한다.
리피터(repeater) : 전기 신호를 전송할 때 전송하는 거리가 멀어지면 신호가 감쇠하는 성질이 있는데, 이때 감쇠된 전송 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다시 전달(증폭)하는 신호 중계 장치를 리피터라고 한다.
허프 : 랜을 구성할 때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장비들을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장치다.
노이즈 : 데이터의 왜곡이나 분해로 인해 전송 매체에서 생기는 전자 신호다.
'Code, Study > Network,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6 전송 계층 :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(0) | 2022.04.06 |
---|---|
05 네트워크 계층 :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(0) | 2022.04.06 |
04 데이터 링크 계층 : 랜에서 데이터 전송 (0) | 2022.04.04 |
01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(0) | 2022.03.31 |
00. 네트워크 (0) | 2022.03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