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PA는 OOP관점에서 모델링을 할 수 있게 해준다 (상속, 콤포지션,연관관계)
콤포지션(결합) : OOP관점에서 테이블 생성-자동생성
class에 상속을 하면 - > 테이블 옆에 붙어서 생성
연관관계 : @키워드
방언 처리가 용이하여 Migration하기 좋은. 유지보수에도 좋음
스프링->JPA->DB (dialect가 많다 db종류)
jpa에 추상화객체를 두고 db종류에 따라 접근 변경 가능
JPA의 개념은 쉬우면서도 복잡해서 어렵다.
'Code, Study > 스프링부트 개념정리(이론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9.스프링부트 개념정리_톰캣(TOMCAT) (0) | 2022.05.16 |
---|---|
08.스프링부트 개념정리_HTTP 웹 (0) | 2022.05.16 |
06.스프링부트 개념정리_영속성 컨텍스트 (0) | 2022.05.16 |
05.스프링부트 개념정리_ORM (0) | 2022.05.16 |
04.스프링부트 개념정리_JPA (0) | 2022.05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