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de, Study/Network, 네트워크

06 전송 계층 :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

Chaniusss 2022. 4. 6. 22:04

주요 키워드

- 전송 계층의 역할

-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

- TCP

- UDP

전송 계층(transport layer, 트랜스포트 계층) :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신경 쓰지 않도록 한다. 데이터가 중복되거나 누락되지 않고 오류 없이 순서에 맞게 전송되도록 관리한다.

연결형 : 데이터를 교환하기 전에 연결을 맺고 데이터를 교환하는 동안 계속 연결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의 한 형태

비연결형 : 연결에 대한 초기화 과정이 없는 통신이다.

TCP (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, 전송 제어 프로토콜) :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은 연결형 통신 방식이며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.

대역폭 : 정해진 시간동안 전송될 수 잇는 데이터의 양(주로 속도)을 말한다. 대역폭은 제한적이다.

UDP : 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때 보내는 쪽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. 연결을 맺을 필요가 없고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다는 신호도 필요하지 않다.

3-way handshake : TCP 통신에서 사용하는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방식. 컴퓨터 간에 연결을 맺기 위한 초기화 과정으로 세 단계로 되어 있어서 three-way 라고 부른다.

잘 알려진 포트(well-known ports) :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수 있도록 예약되어 있는 포트로 1~1023번 포트를 말한다.

브로드캐스트 :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와 장비에 같은 패킷을 일괄 전송하는 방식이다.

일련번호 : TCP 에서는 데이터를 보낼 때마다 각 데이터에 고유한 번호를 부여해서 전송을 시도한다. 이 번호를 이용하여 TCP 패킷의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.

포트 번호 : 컴퓨터가 데이터 통신을 할 때 통신하고자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다. 포트 번호는 0~65535번을 사용할 수 있다. 0 ~1023번은 잘 알려진 포트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수 있도록 예약된 번호다.